react 12

DOM과 가상DOM 쉽게 이해해 보기

리액트와 상태관리 툴(리덕스 등)을 사용하다 보면 불변성에 대해 항상 신경을 써야 한다. 그리고 왜 불변성을 신경 써야 하는지 이해하려면 가상 DOM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헷갈리게 알고 있던 DOM과 가상 DOM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아직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에 대한 이해는 부족하기에 내용은 계속해서 수정될 수 있다. DOM이란 Document Object Model로서 말 그대로 다큐먼트(웹페이지)를 객체로 표현하는 모델을 의미한다. 브라우저마다 DOM을 구현하는 방식은 다르기에 DOM이라는 것이 구체적으로 정해저 있는 언어나 모델과 같은 것은 아니다. 다만 웹페이지를 객체로 표현한 모델을 의미할 뿐이다. 그렇다면 브라우저는 어떻게 DOM을 이용하여 화면을 렌더링 할까? 첫째, 브라우저..

react 2019.11.12

리액트 웹팩 기본 설정하기

웹팩 설정의 큰 흐름 1. 엔트리 파일을 설정한다. 2. 엔트리 파일에 모듈의 옵션을 적용한다. 3. 추가적으로 플러그인까지 적용한다. 4. 아웃풋으로 나온다. 이와 같이 큰 흐름을 알고 접근하면 웹팩설정을 이해하기 쉽다. ​ 설치 모듈 npm i -D webpack webpack-cli npm i -D babel-loader @babel/core npm i -D @babel/preset-env // 옛날 브라우저에서도 사용 가능한 코드로 변환 npm i -D @babel/preset-react //jsx사용 가능하게 변환 webpack.config.js const path = require('path') module.exports = { name: 'word-relay-setting', mode: 'd..

react 2019.10.24